[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한국과 독일 경제계가 인공지능(AI)·로보틱스 등 첨단산업에 이어 드론·미사일 등 방산 분야에서도 협력 가능성을 확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0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 회관에서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 주독일 한국대사관, 주프랑크푸르트 한국 총영사관과 함께 한·독 경제인 150여명을 초청해 ‘한국 비즈니스 데이(Korea Business Day) 2025’ 포럼을 개최했다.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속 한·독 미래 협력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지난해 출범한 대한상의 프랑크푸르트 사무소가 주관한 양국 간 첫 합동 행사다.
이날 포럼에서는 AI·로보틱스·스마트 팩토리 등 양국간 미래 유망 산업 협력을 주제로 패널 토론이 열렸다.
한국 측에서는 두산로보틱스와 삼성 SDS, 독일 측에서는 글로벌 광학·광전자 기업 자이스(ZEISS)와 독일무역투자청이 참여해 생성형 AI와 스마트 팩토리 분야의 협력 의제를 논의했다.
유승박 두산로보틱스 유럽지사장은 로봇에 AI와 스마트 자동화 기술을 접목한 사례를 소개하며 “독일은 유럽 최대 제조업 중심지이자 혁신적 자동화 생태계가 구축된 곳으로, 두산로보틱스가 독일에 유럽시장 본부를 둔 것은 전략적 선택”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앞으로 양국이 지속가능 성장, 첨단 제조 경쟁력 강화, AI·로보틱스 기술의 윤리적 활용 등 글로벌 과제 해결에도 함께 나설 것”을 강조했다.
이어진 주제발표 세션에서는 독일연방상공회의소와 딜로이트 독일법인이 최근 양국 간 유망 협력 분야로 떠오른 방위산업을 조명했다.
토르스텐 호인 딜로이트 독일법인 파트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독일과 유럽은 국방비를 증액하고 군 현대화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유럽은 자국 방위산업을 강화하고 있으나 첨단 핵심 기술은 여전히 부족한 만큼 드론·미사일 방어 등에서 강점을 지닌 한국 기업이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ovelypsych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