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국내 대형마트 2위 기업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한 지 반년이 지난 가운데, 인수 후보자 물색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이달 중으로 최종 인수자를 확정하고, 다음달 중 인가 전 M&A(인수합병) 계획을 담은 회생계획안을 제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인수 후보자를 찾지 못한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오는 11월10일로 연장됐다.
홈플러스의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당소 7월에서 9월로, 다시 11월로 미뤄졌다.
지난 3월 회생 절차 개시 후 홈플러스는 가장 큰 부담이 되는 임대료에 대한 조정에 나섰다.
68개 임대점포 중 50여 개 점포에서 조정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15개 점포는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어 연내 폐점하기로 했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15개 점포의 영업손실만 약 800억원으로, 손실의 가장 큰 원인은 700억원이 넘는 임대료다.
임대료 조정 없이는 손익 개선이 불가능하고 지금 같은 손익구조 하에서는 인가 전 M&A 역시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홈플러스는 판단했다.
여기에 홈플러스는 유동성 회복을 위해 최근 영업시간을 오후 10시로 앞당겼다.
영업시간을 단축해 인건비, 전기료 등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취지다.
실제 홈플러스는 전 점포의 전기요금 9월 청구분(8월 사용료)을 체납할 만큼 유동성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홈플러스 측은 “기한 내 납부하지 못했지만, 곧 연체분을 포함해 성실히 납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의 폐점 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회생법원과 정부 개입을 주장하고 있다.
이날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요구하는 농성장에 직접 방문해 정부 차원의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정부가 범정부 차원에서 이 문제를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폐점은 단순히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경제와 공동체에 심각한 파급을 미친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부처 내 TF를 운영해 고용 동향과 현장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며 “노조가 제안한 사회적 대화 기구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march11@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