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국내 최초 ‘무용 전용’ 공연장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 개관 59

AD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이 조성한 국내 최초 무용 전용 공연장을 갖춘 ‘서울문화예술교육센터 은평’이 4일 개관식을 시작으로 문을 연다.

서울시는 2023년 서울무용제 개막식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축사를 통해 은평센터 내 무용 전용 공연장인 ‘서울무용창작센터’ 조성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무용계는 오랫동안 무용 전용 시설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고, 특히 지난 4월 국회서 열린 ‘무용진흥법 제정 공청회’에서는 국립무용원 설립과 함께 무용 전용 공연장의 필요성을 주요 의제로 다룬 바 있다.

은평센터는 공연장 및 전문적인 댄스스튜디오를 갖춘 문화공간으로 공연, 창작, 교육, 커뮤니케이션 등 무용 관련 활동이 펼쳐지는 공간인 ‘댄스하우스(무용의 집)’ 모델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댄스하우스 개념은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돼 영국 런던의 더 플레이스(The Place), 독일 뒤셀도르프의 탄츠하우스 NRW 등 현재 전 세계 28개국, 54개 공간이 운영되고 있다.

은평센터 1~2층에 조성된 블랙박스형 공연장 서울무용창작센터는 국내 최초 무용 전용 공공 공연장이다. 무대 상부에 전 방향 무대 전환이 가능한 ‘텐션 와이어 그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프로시니엄, 아레나, 양방향, 런웨이 등 다양한 무대 형식에 맞춰 전환할 수 있다. 또 9m에 달하는 높은 천고와 최대 256석 수용 가능한 객석 규모로 공연에 충분히 몰입할 수 있는 공간감을 제공한다. 무대 바닥은 탄성 강도가 높은 너도밤나무 소재를 활용해 무용수의 안전을 확보했다.

2024년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arrier-Free)’ 우수등급 인증을 받은 은평센터는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티켓부스와 카페의 낮은 카운터, 댄스스튜디오 내 리프트 설치 등 시설에 접근성을 강화했다. 카페와 티켓부스가 있는 1층 로비에는 무용 관련 서적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매일 밤 10시까지 개방해 시민 누구나 무용을 편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서울문화재단은 은평센터를 중심으로 기존 레지던시 중심 무용공간인 ‘서울무용센터'(서대문구)와 연계하고, 은평문화재단(은평구) 등 인근 문화기관과 협력해 서울시 서북권을 K-무용의 거점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한편 개관 페스티벌 ‘Every Body Every One: 세상 모든 움직임을 위한, 단 하나의 무대’는 무용인의 치열한 창작부터 시민의 소박한 몸짓까지 모든 움직임이 존중받고 예술로 확장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 공연부터 시민 교육 프로그램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개관 페스티벌은 오는 12월까지 이어진다.

첫 시작을 알리는 공연은 현대무용계 아이콘 ▲안은미 컴퍼니의 다. 작품은 지난 영국, 미국의 대형 무대에 연이은 초청 공연을 통해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안은미컴퍼니 특유의 강렬한 색채와 사운드, 영상 연출로 역동적인 무대를 선사한다. 이어 ▲고블린파티 ▲멜랑콜리 댄스컴퍼니 ▲임정하 ▲아하무브먼트 등 다양한 무용 작품이 무대에 오른다. 또한 ▲제46회 서울무용제 ▲국립현대무용단 등 협력 프로그램도 함께 마련됐다.

한편 지난 4일 은평센터에서는 최태지(전 국립발레단 단장), 홍승엽(전 국립현대무용단 예술감독), 김삼진(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교수) 등 무용계 인사를 비롯해 서울시 관계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개관식이 성황리에 종료됐다. 개관식은 ‘모두가 무대 위의 주인공’이라는 주제로 김주원 발레리나의 사회와 함께 ▲2025 YAGP 주니어 1위 박큰별빛 ▲2024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수상자 배현우 ▲한국무용가 임학선 ▲현대무용가 강성룡 등 세대와 장르를 연결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국내에서는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 등 장르와 세대를 아우르는 무용계의 선순환 시스템을 안착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에는 해외에서 활동하는 무용인들과 교류를 통해 서울을 글로벌 문화도시로 성장시키며 무용예술의 대중화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은평센터와 개관 페스티벌 관련 정보는 서울문화재단 누리집과 은평센터 인스타그램(@sdcc.ep)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905_0003318100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