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美관세로 성장률 얼마나 꺾일까?…9월 고용지표 주목[경제전망대] 10

AD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다음주(10월 13~17일)에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마지막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9월 국내 고용시장 상황에 대한 통계치도 공개된다.

11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IMF는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및 IMF·세계은행(WO) 총회가 열리는 미국 워싱턴 D.C.에서 오는 14일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전세계와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치가 발표된다.

미국의 관세조치가 글로벌 성장세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가 가장 큰 관심사다. 앞서 IMF는 지난 7월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3.0%로, 내년 성장률을 3.1%로 전망했지만 이번 보고서에서는 전망치를 소폭 낮출 가능성이 있다.

이와 관련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최근 열린 한 행사에서 “(미국 관세의 영향이) 두려워했던 것보다 낫지만, 우리에게 필요한 것보다는 나쁘다”고 언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IMF가 지난달 24일 ‘2025년 한국-IMF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제시한 2025년 0.9%, 2026년 1.8%에서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번 G20 회의와 IMF·WB 총회 참석을 위해 내주 미국 출장길에 오른다.

국가데이터처는 오는 17일 9월 고용동향을 발표한다. 최근 내수 회복에 따라 고용시장에도 개선세가 나타날지가 관심사다.

8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6만6000명(0.6%) 증가했다. 고용률은 63.3%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8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하지만 농림어업(-13만8000명), 건설업(-13만2000명), 제조업(-6만1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 수도 전년 동월보다 21만9000명 줄었다.

기획재정부는 오는 16일 재정동향 10월호를 발표한다. 올해 두 차례의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으로 인해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규모가 얼마나 확대됐을지에 이목이 집중된다.

기재부가 지난달 11일 발표한 재정동향 9월호를 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관리재정수지는 86조8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98조1000억원)과 2022년(86조8300억원)에 이어 역대 세번째로 큰 규모다. 중앙정부 채무 잔액은 7월 말 기준 1240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2조1000억원 증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11_0003358839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