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오는 25일(현지 시간) 예정돼 있던 한미 2+2 통상협의가 미국 측 사정으로 돌연 연기됐다고 우리정부가 밝힌 가운데, 미국 재무부도 24일 스콧 베선트 장관의 일정 문제로 회담이 연기됐다고 설명했다.
미 재무부는 이날 한미 2+2 통상협의 연기와 관련한 뉴시스 질의에 “일정 충돌(scheduling conflict) 탓에 베선트 장관의 한국과의 양자회담 일정이 조정되고 있다”고 밝혔다.
당초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미국행 비행기에 올라 회담에 참석할 예정이었으나, 기재부는 “미국과 예정됐던 2+2 협상은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으로 인해 개최하지 못하게 됐다”며 연기 사실을 발표했다.
미 재무부 역시 회담 연기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베선트 장관 입장에서 한미 관세 회담보다 더 중요한 일정이 생겼다는 것인데, 구체적인 연기 사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재무부는 다만 “베선트 장관은 조만간 한국의 카운터파트너들과 대화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우리정부에도 긴급한 일정만 언급하고 구체적인 회담 취소 사유는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고위급 외교 일정을 하루 전 취소 통보하면서, 구체적 사유도 설명하지 않은 것을 두고는 외교적 결례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은 구 부총리가 방미길에 오르기 약 한시간 전인 오전 9시께 연기를 통보했다고 한다. 통보가 한 시간만 늦었다면 구 부총리는 꼼짝없이 미국을 왕복해야 했다.
회담 취소 배경에 한미관계 이상기류가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회담 연기가 한국에 대한 불만 표출 또는 경고라는 해석이다.
다만 주미대사관 상무관실은 “베선트 장관의 급한 사정 때문이지, 한국과의 협상과 관련해 다른 함의가 있다고 보긴 어렵다”며 “산업부 장관과 통상교섭본부장은 상무장관,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는 일정을 차질없이 수행한다”고 공지했다. 기재부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다른 의도는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 설명대로 미국에 다른 의도가 없었더라도, 관세협상에는 부정적 여파가 뚜렷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에 예고한 25% 상호관세는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2+2 통상협의는 막판 협상 타결을 위한 분수령으로 꼽혔는데, 기회 자체가 사라진 셈이다.
베선트 장관은 오는 28~29일 중국과 무역협상에 참여할 예정이라, 상호관세 발효 전 새로운 협의 일정을 잡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sympathy@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