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 전쟁의 방아쇠를 당긴 가운데 다음주(4월14~18일)에는 미국 관세 조치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하기 위한 정부와 통화 당국의 행보가 본격화된다.
12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다음주 초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한다. 이번 추경안은 재난·재해 대응, 통상 및 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에 초점이 맞춰진다. 특히 영남권 산불 피해 지원과 미국 관세 피해 기업 지원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은행은 오는 17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2.75%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10월과 11월, 올해 2월 각각 0.25%포인트(p)씩 3차례에 걸쳐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한은이 경기 하강을 막기 위해 금리를 내릴지, 환율 상승 등을 우려해 동결할지가 관심사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는 15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 출석한다. 필수 추경과 미국 관세 대응, 산불 피해 복구 방안 등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최 부총리는 15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17일 대외경제 자문회의를 주재한다.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한 상황에서 향후 정부의 협상 전략과 대응 방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범석 기재부 1차관은 16일 일자리 TF 회의, 18일 물가차관회의를 개최한다. 미국의 관세 조치가 국내 고용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17일 202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지난해 농림어가의 인구, 가구수, 고령인구 비율 등이 공개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