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韓 OECD 경기선행지수 7개월째 상승…3년7개월만에 최고 4

AD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CED)가 집계한 한국의 경기선행지수가 지난해 12월부터 7개월 연속으로 상승세를 나타냈다. 주요국 중 영국 다음으로 높아 정국 불안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하면서 반등 가능성을 보였다.

13일 OECD에 따르면 6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101.08로 전월(100.97)보다 0.11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 2021년 11월(101.09) 이후 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는 2022년 6월부터 2024년 1월까지 100 아래에 머물렀다가 2024년 2월(100.02) 100을 돌파했다.

또 지난해 12월(100.49)부터 올해 6월(101.08)까지 7개월 연속 상승해 101을 넘어섰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실물경기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다. 주당 노동시간, 신규 수주, 소비자 예상, 주택허가건수, 주식가격, 금리 스프레드 등을 포함한 10개의 선행지표를 조합해 산출한다.

경기선행지수가 100 이상이면 향후 성장률이 장기 추세보다 높고, 100 이하면 장기 추세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한다. 지수가 100 이상에서 오르는 것은 지금 경기가 확장 국면에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최근 4개 분기 연속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에 미치지 못했고, 1분기에는 마이너스(-0.2%)를 기록했다. 많은 기관들이 올해 성장률을 0%대로 전망하고 있을 정도로 경기가 부진한 상황이다.

하지만 선행지표가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향후 경기 상황은 지금보다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새 정부가 30조5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경기 진작에 나서면서 이같은 기대감은 더욱 커졌다.

지난달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G20 평균(100.50)과 미국(100.43), 중국(100.26) 등 주요국에 비해 높았다. 우리나라보다 선행지표가 높게 측정된 나라는 영국(101.16) 뿐이었다.

선행지표 성격을 띄는 주가지수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올해 들어서만 32.38%가 올라 지난 11일 3175.77에 마감했다. 지난주에는 46개월 만에 3200선을 터치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13_0003249639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