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경남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가야권역 최대 규모 확인 3

AD

[창원=뉴시스]홍정명 기자 = 경남도는 31일 고성군 고성읍 기월리 일원에서 진행 중인 고성 송학동 고분군 14호분 2차 발굴조사 성과 공개를 통해 가야권역 내 최대 규모의 봉분 구조와 정교한 축조 공정이 새롭게 밝혀졌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국가유산청과 경남도가 지원하는 ‘국가지정문화유산 보수정비사업’ 일환으로, (재)삼강문화유산연구원이 9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진행한다.

이날 발굴 현장에서는 학술자문회의가 열렸으며, 11월 6일에는 도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현장 공개회를 열 예정이다.

이번 조사에서 14호분은 남북 47.5m, 동서 53m, 높이 7.6m에 달하는 초대형 원형 봉토분으로 확인됐으며, 가야권역 내 최대 규모의 고분임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특히, 봉분 외면의 즙석(葺石) 처리와 내측의 토제(土堤) 및 상·하부 성토구조는 소가야 왕묘의 체계적인 축조 방식을 보여주며, 가야권 고분 축조 기술의 표준모델로 평가됐다.

14호분의 매장 주체부는 수혈식 석곽묘(길이 5.25m, 너비 0.95m, 깊이 1.2m)로, 내부에서 대도(大刀), 갑주(甲冑), 살포, 철모(鐵矛) 등 무기류와 함께 소가야계 토기류가 다량 출토됐다.

송학동 고분군 1호분보다 시기적으로 앞서고, 14호분이 5세기 중엽 소가야의 왕묘급 고분임을 시사한다.

앞서 지난 1차 조사에서 확인된 대금계판갑(帶金系板甲)과 충각부투구(衝角附冑)는 소가야 지역 최초의 사례로, 당시 소가야 지배층의 위세와 교류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번 2차 발굴을 통해 봉분 축조공정과 원통형 토기 설치, 층위 구조 등이 명확히 규명되면서 가야 연명체의 정치·기술 발전 단계를 실증적으로 밝힐 수 있는 기초자료가 확보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특히, 가야권 고분 가운데 토제(土堤), 즙석(葺石), 상·하부 성토 공정이 완비된 유일한 사례여서 가야사 복원과 세계유산 연구에서도 중요한 기준점이 될 전망이다.

경남도 박일동 문화체육국장은 “이번 발굴은 가야권 최대 고분의 축조 체계를 정밀 발굴로 규명한 성과로, 세계유산 가야고분군의 가치와 위상을 한층 높였다”면서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화유산 보존·활용 행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hjm@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31_0003385251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