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국립국악원장 선임에 대해 국악계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국악계 현안 비상대책협의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립국악원 원장 선임에 재고를 촉구하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33인의 입장문을 7일 발표했다.
33인의 명단에는 이생강 명인, 윤진철 명창, 이난초 명창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문체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국립국악원 조직개편과 관련해 국악연구실의 교육·연구기능을 축소하거나 위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개편도 받아들일 수 없으며, 이의 중단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행정직 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을 강력히 반대하며 국악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우수한 역량을 지닌 최적임자를 찾기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모절차를 중단하고 재공모를 실시하라”고 주장했다.
문체부가 최근 임명된 국악원장들이 모두 서울대 국악과 출신이라는 부분을 지적한 것에 대해서는 “국악계를 폄훼하고, 편 가르기를 통해 국민에게 국악에 대한 그릇된 오해를 낳게 하면서 관치행정을 자행하려는 태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속히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 조화의 아름다움과 뜨거운 열정이 가득한 문화예술계를 조성하는데 앞장서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국악계도 지금의 진통을 보다 낳은 미래의 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온 국민이 전통 예술의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삶 속에서 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각자의 처지에서 맡은 바 직분에서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짚었다.
민간 전문가만 지원할 수 있던 경력개방형 직위였던 국립국악원장은 지난해 12월 대통령령이 개정돼 행정직 공무원이 응모·임명될 수 있는 개방형으로 바뀌었다.
이런 가운데 문체부 고위공무원이 국립국악원장 공모에 지원한 사실이 알려지며 국악계에서 아를 비판을 하고 나섰다.
국립국악원은 현재 강대금 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최근 6차례 국악계 관계자와 간담회를 갖고 국악원장 임명 등 국악계 현안을 논의했다.
유 장관은 “국립국악원의 역할 강화는 물론 국악계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자리에 대한 고민을 통해 많은 분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