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이재명 정부 첫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소관 사업이 2934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당초 정부가 제출했던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된 농식품부 소관 6개 사업, 1862억원 외에 사업비 총 1072억원이 추가로 반영된 것이다.
농식품부 측은 “국회 심의단계에서 비축 지원, 후계농육성자금 등 농업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비와 통상환경에 대응한 농식품·농기자재 등 수출 기업에 지원하는 사업비 총 1072억원이 추가로 반영됐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비축지원 1021억원 ▲후계농육성자금 6억원 ▲농식품글로벌육성지원자금(융자) 40억원 ▲농산업수출활성화 5억원 등이다.
먼저 국산 콩 안정적 수급 관리에 필요한 콩 수매·비축 예산 1021억원을 추가 반영해 정부 비축 여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2만t 규모의 콩을 연내 추가 수매해 정부 비축 물량을 확보하고 향후 가격 안정 및 가공 수요 확대 등에 대응하기로 했다.
또 후계농·청년농을 육성하기 위한 ‘후계농육성자금’ 이차보전 6억원(융자규모 3000억원)을 추가로 반영해 약 1500명 내외 신규 후계농에게 추가로 자금 지원을 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청년농의 영농 정착 부담을 덜고 농업 경영을 위한 시설투자·농기계 구입 등을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18세 이상~40세 미만 청년농 영농정착지원사업 선정자, 18세 이상~50세 미만이면서 영농종사 경력이 없거나 10년 미만인 자 등이다. 지원조건은 금리 1.5%, 대출한도 5억원, 5년 거치 20년 상환이다.
아울러 농식품 등 수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2개 사업, 45억원을 반영했다.
중소 수출업체의 경영 안정과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농식품글로벌육성지원자금(융자) 40억원, 농산업수출활성화 사업 5억원을 추가 반영했다.
중소 농식품 수출업체를 중심으로 수출에 필요한 운영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스마트팜·농기자재 등 농산업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인허가 취득, 마케팅, 보험·보증 등을 기업당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해 농식품과 연관산업 수출 확대를 뒷받침할 계획이다.
지원금리는 고정 2.5~3.0% 또는 변동이며 지원비율은 융자 80(중견기업 등)~90%(중소기업)다.
농식품부는 이번 추경에 반영된 예산이 콩 수급 안정, 청년농의 안정적 영농 정착, 농식품과 연관산업 수출 활력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속 집행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