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군함도에서 어떤 일이 자행되었는지, 한국인과 같이 강제 연행된 사람들이 어떤 노동을 강요당했으며 어떤 생활을 했는지 역사에 남겨야 하는데 ‘관광’이라니 어처구니가 없는 발상이다.”(하야시 에이다이 일본 기록 작가)
“군함도에서 조선이 차별이 없었다는 것은 새빨간 거짓말이다.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곳, 지하 2층에 조선인들을 밀어넣고 사람취급을 하지 않았다. 누나는 간호사였는데 ‘조선인들은 마취를 하지 않고 치료해 신음소리가 들렸다’라고 했다.”(다케우치 신페이 군함도 주민)
일제강점기 규슈 나가사키현 군함도(軍艦島)에서 자행된 조선인 강제 노역과 학대의 증언은 차고 넘친다. 그런데도 군함도는 지난 2015년 7월 5일 버젓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고, 이후 10년이 흘렀으나 일본은 등재 당시 “조선인 강제동원 역사를 충분히 알리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과 일본 측 대표는 군함도에 대한 정식 의제 채택 여부를 놓고 초유의 투표전까지 벌였으나, 의제 채택이 무산됐다.
한국 측의 안건 제안에 일본은 이를 삭제한 수정안을 제출했고, 위원국을 대상으로 한 투표에서 일본이 제시한 수정안이 찬성 7, 반대 3표, 기권 8표, 무효 3표로 채택됐다.
이로써 오는 16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회의기간은 물론 향후 군함도 관련 사안을 제기하기가 어려워졌다는 우려가 나온다.
군함도는 일본 나가사키현에 있는 작은 섬으로 공식 명칭은 하시마섬이다. 외형이 군함처럼 생겼다고 해서 군함도로 불린다.
19세기 후반부터 1974년까지 일본의 탄광 산업이 번성하면서, 많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강제 동원된 일제 강점기의 아픈 역사가 담겨 있다.
군함도는 1890년부터 미쓰비시 소유로, 미쓰비시는 석탄 채굴을 위해 하시마섬의 작은 여울과 주위 암초, 사주를 1897년부터 1931년까지 해진 6의 매립 공사를 거쳐 현재 모습의 섬으로 만들었다.
1916년 이 섬에는 일본 최초 철근 콘크리트조의 집합 주택 30호동이 건설됐다. 이때 해상에서 본 실루엣이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조선소에서 건조 중이었던 일본제국 해군 전함을 닮아 군칸지마 즉 군함도로 불려 왔다. 탄광 시설, 주택, 초중학교, 점포, 병원, 사원, 영화관, 이발소, 미용실, 사교장 등 도시 기능을 구비했다.
1943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인 연인원 약 500~800명이 이곳에 징용돼 노역에 동원됐다. 1925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인 1162명, 한국인 122명, 중국인 15명의 화장 기록도 남아있다.
1960년대 이후 석유 때문에 석탄산업이 도태되면서 폐산됐다. 1974년 폐산 후 섬에는 당시 건물들이 남아 있다.
일본에서 세계유산 등록 운동이 진행되면서 2006년 일본 정부는 하시마섬을 포함한 규슈와 야마구치 8개 지역 23곳인 ‘큐슈, 야마구치의 근대화 산업 유산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추진했다. 8개 지역 중 6개 지역은 일본 남서부에 1개 지역은 중부, 나머지 1개는 본섬 북부에 있다.
이후 2015년 6월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 철강, 조선 및 탄광’이란 정식명칭으로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당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일본 서남부 규슈(九州) – 야마구치(山口) 지방에 중심적으로 분포하는 일본의 산업유산은 서구에서 시작된 산업화 과정이 비서구권 국가로 성공적으로 이전된 최초 사례”라며 “씨족 기반의 사회였던 일본이 어떻게 서양의 기술을 지역의 요구에 최적화해 혁신적으로 접근하는지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 사회는 주요한 산업사회로 변모했고 동아시아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됐는데 이러한 모습이 유산에 탁월하게 반영되어 있다”고 평가했다.
그 후 강제 징용에 대해 명시를 하겠다는 조건을 달아 세계유산으로 등재됐으나 일본 정부는 조선인들의 강제 노동 사실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에 위원회는 2021년 7월 일본이 지금까지 강제징용에 대한 사실을 부정한 사실을 지적하는 결정문을 채택했다.
그러나 일본은 오히려 조선인 징용·위안부와 관련해 강제성이 없었다는 주장을 강화하는데 열을 올렸다. 특히 2020년 개관한 정보센터는 조선인 강제노동을 다루지 않고 일본 산업화가 자랑스럽고 중요하다는 내용만 기술해 역사를 왜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위원회가 일본의 이런 부실 조처를 지적하면, 일본이 추가 조처를 하는 양상이 지난 10년간 반복돼왔다.
이에 우리 정부는 올해 위원회에서 강제징용 명시 등 후속 조치를 요구하기 위해 정식 의제로 올리려 했으나, 사상 초유의 표 대결에서 패해 10년간 우리 정부가 기울여온 노력이 사실상 무위로 돌아갔다. 나아가 군함도 문제를 놓고 한일간 과거사 갈등이 다시 불붙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