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정부가 베트남과의 경제 협력 확대 방안을 본격화한다. 미국 정부의 관세 전쟁에 맞서 베트남과의 교역을 강화하며 글로벌 패권 경쟁과 자국 우선주의에 대응하기 위함으로 읽힌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하여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 장관과 ‘제 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 및 ‘제 8차 한-베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를 열고 양국의 경제 협력 확대 방안을 협의했다.
산업공동위에서는 2022년 6월 양국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 베트남 원전 협력,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및 청정에너지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유통분야 국장급 정책회의 재개와 섬유·의류 산업 투자 협력 등에 합의했다.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의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를 위한 FTA 개정,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대, 양국 수입규제 현황 등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양국 수석대표와 원전 담당국장은 공동위 개최 이후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 업무협약(MOU)’과 ‘원전 협력 MOU’에 서명했다. 한국전력은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를 체결했다.
안 장관은 같은 날 오후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인을 만나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등 대미통상현안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베트남 하노이 롯데호텔에서 열린 현지 진출기업 간담회에슨 삼성전자, LG전자, 희성전자, 기은무역, 현대자동차, 신한은행, SK, GS에너지, 한화에너지, 두산 에너빌리티 등 16개 법인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안 장관은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는 물론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 및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지속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oj1001@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