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기업들 지난해 문화예술 지원에 2125억 썼다…”2023년 이후 정체” 3

AD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문화예술 지원 총액이 2125억20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국메세나협회는 ‘2024년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현황 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국내 매출액 기준 500대 기업과 기업 출연 문화재단 등 735개 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총액은 약 2125억2000만원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대비 지원건수(1861건)와 지원 기업수(587개)가 각각 18.5%, 14% 증가했지만, 지원 규모는 1.8% 증가에 그쳤다.

이에 대해 한국메세나협회는 “경기 위축과 정치 혼란 속에서도 지원 규모가 증가한 것은 고무적이나, 2023년 이후 여전히 정체 국면에 있다”고 분석했다.

문화예술 지원의 장르·지역별 양극화는 더 뚜렷해졌다.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별 지원 금액’을 살펴보면 공연장, 복합문화공간, 미술관 등 인프라 분야(약 1201억원)는 전년 대비 소폭 감소(-0.3%)했으나, 전체 지원 규모의 56.5%를 차지하며 절대적 우위를 유지했다.

미술·전시(약 319억원, +3.9%), 클래식(약 215억원, +23%), 문화예술교육(약 314억원, +1.5%) 분야가 그 뒤를 이었다. 문학(33억원, +33.9%), 무용(13억원, +2.4%) 분야에 대한 지원도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주류·다원예술(약 56억원, -14.7%), 국악·전통예술(약 40억원, -1.6%), 영상·미디어(약 19억원, -33.2%), 연극(약 17억원, -30.7%), 뮤지컬(약 14억원, -24.6%) 분야는 기업의 지원이 감소했다. 아울러 여전히 전체 지원 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 3%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사업 지역’에 대한 결과에서도 격차는 벌어졌다.

서울 지역이 48.6%(+11%)을 차지하며 수도권에 대한 지원은 61.1%로 집계됐으나, 비수도권 지원은 전년 대비 8.9% 감소해 지역별 지원 편중 현상 심화가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에 대한 관점 및 방식 변화가 두드러졌다.

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을 일방적 후원이 아닌 기업과 예술계의 상생 협력을 통한 가치 창출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음이 나타냈다. 실제로 응답 기업 중 81.9%가 ‘예술가·예술단체는 지원 대상이 아니라 협력 파트너라고 생각한다’에 긍정적으로 답했다.

또한 ‘기업의 문화예술 사업의 지속 기간’ 분석 결과 ‘1년 미만’ 응답 비율이 22.6%로 전년 대비 15.1% 감소했다. 5년 이상 지속된 장기 사업의 비율은 55.4%로 전년 대비 21.5%로 크게 늘었다.

이는 기업이 문화예술 지원을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중장기적 기업 활동의 일환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원 주체별 분석 결과, 개별 기업 부문에서는 KT&G가 전년도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기업 출연 재단 부문에서는 삼성문화재단의 지원 규모가 가장 컸다.

한국 메세나협회는 “과거에 비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폭이 넓어졌으나 여전히 복지, 환경, 교육 등에 상당 부분 국한되어 있다”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를 고려하면 문화예술의 차별적 효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문화예술 지원 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강화, 정부 공공사업 입찰 및 ESG 평가 시 가점을 부여하는 우대 평가제도 도입, 문화예술 지원 활동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성과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후원매개단체 역할 및 기능 활성화 등 실효성 있는 정부의 다층적인 정책 지원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보탰다.
◎공감언론 뉴시스 juhee@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01_0003234376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