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농민들이 서울 도심에 집결해 기후재난 대응을 위한 근본대책과 농민 중심의 농정 대전환을 정부에 촉구했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은 22일 오후 서울 숭례문 앞에서 ‘전국농민대회’를 열고 기후재난 농업 대책 마련, 농업 개방 저지, 농민 중심 농정 대전환 등을 요구했다. 이날 집회에는 가톨릭농민회, 여성농민회, 양파·마늘·쌀 생산자협회 등이 참여했으며, 전농은 집회 참석 인원을 1만명으로 신고했다.
참가자들은 ‘기후재난 근본대책 수립! 내란농정 청산하고 농민중심 농정 대전환!’, ‘농업개방 막아내고 식량주권 지켜내자!’ 등의 피켓을 들고 농업 정책 개선을 요구했다.
하원오 전국농민회총연맹 회장은 “지금도 농민들은 미국의 수탈을 막아내자며 싸우고 있다”며 “내년부터 수입될 40만t(톤)의 쌀은 많은 농민들의 생존을 위협하는 재협상의 결과”라고 비판했다.
이어 “미국은 이미 체결된 자유무역협정(FTA)마저 휴지조각으로 만들고 더 노골적인 수탈 야욕을 드러내고 있으며, 농민들은 이러한 불공정한 국제 농업질서와 신자유주의 개방 농정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전 정권과 현 정권을 모두 비판하며 “역대 정권 모두가 농업을 파괴하고 농민을 외면한 내란 농정을 이어왔다”며 “이재명 정부 역시 농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있다. 농정 대전환이 이뤄지지 않는 한 투쟁은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 총연합 회장은 폭염과 가을장마 등 기후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호소했다. 정 회장은 “농민이 피해를 입증해야만 보상을 받을 수 있고, 면 단위 기준에 따라 보상 여부가 갈리는 등 현실과 동떨어진 보상 기준이 농민을 두 번 울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현실에 맞는 기후재해 보상 기준을 마련하고, 농민들이 안정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농업 예산을 증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준기 전국사과생산자협회 회장도 “정부가 트럼프 행정부의 압력에 굴복해 유전자 조작 농산물 수입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며 “이는 국민 식탁의 안전과 국내 농업 기반을 동시에 위협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전농은 “기후위기 대응과 식량안보를 위한 농정 대전환이 시급하다”며 “정부가 실질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전국적인 농민 투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촉구했다. 집회 후 농민들은 태평로터리에서 출발해 숭례문로터리를 거쳐 을지로1가 교차로까지 행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schoi@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