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본인의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재직 경력으로 인해 이해충돌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쏟아지자 “오해를 살 소지가 있다면 나름대로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대내외에 공개해서 각별히 준비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1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김 의원은 “형식적으로는 두산그룹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문제 없지만 일반인 인식에서는 과거 근무한 회사에 우호적인 결정을 하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두 가지가 필요하다고 본다”며 “두산그룹에 대한 특별한 대우가 없어야 한다는 점을 당연히 밝혀야 하고 의사결정 라인에서 빠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두산그룹에) 특별한 대우가 없다는 원칙이나, 실제 (의사결정)라인에서 제외되는 것 이외에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살펴보고 가이드라인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 외에도 곽상언 민주당 의원,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등 여야를 가리지 않고 이해충돌 우려를 제기하자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답한 것이다.
인사청문회에서는 김 후보자의 이해충돌 우려 등 도덕성 검증뿐 아니라 산업부 소관 정책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김 후보자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농축산물 시장 개방 압박에 대해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는 엄중한 시기”라며 “농민의 삶과 연관돼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 시장 개방을 수용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알고 있기로는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며 “모든 어젠다가 테이블에서 논의되고 있고 예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서는 재생에너지와 원자력발전이 함께 가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했다.
김 후보자는 “에너지는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전, 수소 등이 믹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인공지능(AI) 시대에 어느 정도 원전의 역할은 불가피하지만 한편으로는 신재생에너지가 가야 할 방향을 고려할 때 두 가지가 실용적인 방안으로 잘 조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기업에서 근무할 때 해외에 다닐 때는 원전을 했지만 국내에선 해상풍력을 적극적으로 했다”며 “원전과 재생에너지가 같이 가야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고 분명히 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에너지고속도로와 관련해서는 “서해안에 있는 재생에너지를 고려했을 때 서해안에너지고속도로는 단순 재정 이슈가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슈”라고 설명했다.
해상풍력 산업에 대해서는 “제주도, 울산 등에서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진행되는데 국내 기업이 아닌 외국 기업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안타까웠다”며 “국내 공기업조차 오히려 외국산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면서 피가 거꾸로 솟는 서운함이 들었다”고 전했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양·여수·목포 등 남해안 산업벨트 지원 방향에 대해서는 “기업 혼자 둬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정부를 포함해 사회 전반적으로 이 업종들에 관심을 갖고 방안을 만들어야 할 중차대한 시기”라고 했다.
한편 대왕고래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는 “당시 진행과정에서 정보공개 이슈, 소통 부족 등 문제가 있었다”며 “산업부 입장에서는 당시 자원 개발이 필요하다는 측면도 있어서 현재 실무자들과 (발표 시기 등을) 고심 중에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yeodj@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