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김민성 기자 = 원·달러 환율과 각종 원재료 가격이 고공행진을 거듭하면서 커피를 비롯해 치킨·유제품 등 각종 먹거리 가격의 ‘도미노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5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더리터가 운영하는 무인카페 브랜드 더리터24는 지난 1일부로 음료 가격을 평균 10% 가량 올렸다.
(뉴시스 4월3일자 [단독] “이번엔 무인카페까지…” 더리터24, 아이스 아메리카노 20% 인상 기사 참조)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1500원에서 1800원으로 20% 올랐으며, 아이스 카페라떼는 2800원에서 2900원으로 3.5% 뛰었다.
아이스 카페모카는 2800원에서 3000원으로 6.6%, 복숭아 아이스티는 2500원에서 2800원으로 12% 인상됐다.
한편 더리터도 지난달 10일 부로 아이스 아메리카노 ML 사이즈 가격을 1800원에서 2000원으로 11.1% 올렸다.
메가MGC커피(메가커피)는 다음달 21일부터 아메리카노 등 일부 메뉴의 판매 가격을 인상한다.
아메리카노(HOT) 가격 1500원에서 1700원으로 13.3%(200원) 올린다. 메가MGC커피가 아메리카노의 가격을 조정한 것은 브랜드 출밤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다만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은 기존 가격(2000원) 그대로 유지된다.
할메가 시리즈인 할메가커피(1900원→2100원)와 할메가미숫커피(2700→2900원)는 각각 200원씩 인상한다.
글로벌 카페 브랜드인 블루보틀도 이달 들어 제품 가격을 올렸다.
글로벌 커피 브랜드 블루보틀은 지난 1일부터 국내에서 판매하는 음료 가격을 300~900원 인상했다. 논커피(Non Coffee) 음료의 경우 200~500원 뛰었다.
(뉴시스 3월27일자 [단독] 블루보틀, 음료 가격 최대 900원 인상…아메리카노 5600→5900원 기사 참조)
이에 따라 아메리카노는 5600원에서 5900원으로 5.3%(300원), 라떼는 6600원에서 6900원으로 4.5%(300원) 인상됐다.
투썸플레이스도 지난달 26일부터 ▲커피 23종 ▲음료 22종 ▲케이크 13종 등 총 58종 품목의 가격을 평균 4.9% 올렸다.
이로 인해 아메리카노 레귤러 사이즈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카페 라떼 가격은 5000원에서 5200원으로 상향 조정됐다.
업계에서는 달러 강세와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로 원·달러 환율이 최근 1400원대 후반까지 급등한 데다 커피 원두와 코코아 등 원재료 각종 비용이 오른 것을 가격 인상의 원인으로 꼽는다.
커피 원두는 전량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어 환율이 오를 경우 매입 비용이 증가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주요 커피 원두 생산국에서 이상 기후가 발생했고, 수확량이 급감해 원두 가격이 폭등했다”며 “가뜩이나 고환율로 수입 비용이 올랐는데, 원두 자체 가격까지 오르니 부담이 많이 커졌다”고 말했다.
커피업계 뿐만 아니라 치킨·유제품 등 다른 식음료 업계도 잇달아 가격을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지코바치킨은 오는 7일부터 모든 메뉴의 가격을 2500원 인상한다. 지난해 3월 전 메뉴 가격을 1000~2000원 올린 지 약 1년 만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대표 메뉴인 순살양념치킨은 기존 2만1000원에서 2만3500원으로 11.9% 올랐다.
유업계에선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이 이달 들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매일유업은 지난 1일부터 제품 51종 가격을 평균 8.9% 인상했다. 남양유업 역시 이달 들어 대표 제품인 초코에몽을 비롯한 주요 제품의 가격을 올렸다.
초코에몽 190㎖는 출고가 인상에 따라 현재 1400원에서 1600원으로 14.2%(200원) 오른다.
현재 과수원사과 200㎖도 1600원에서 1800원으로, 아몬드데이오리지널과 아몬드데이언스위트 190㎖도 1500원에서 1700원으로 200원씩 뛴다.
최근 가격을 올린 한 식품 업계 관계자는 “원재료부터 인건비·가스비 등 제반 비용이 모두 오르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며 “여기에 지난해 말 치솟은 환율도 내려올 기미가 보이지 않아, 원가 부담이 1년 새 많이 커진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탄핵 정국 이후 발생한 정부의 리더십 공백 속에 이어지던 식품업계 가격 인상 행렬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주춤해 질 지도 관심사다.
◎공감언론 뉴시스 km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