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민주노총’ 출신 고용장관, 노동계보다 재계 먼저 찾은 이유(종합) 3

AD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이재명 정부 초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된 김영훈 장관이 노동계 단체보다 경영계 단체를 먼저 찾은 이유를 두고 “민주노총 출신 장관으로서 경영계의 여러 우려가 있을 것 같아 (먼저) 말씀을 듣고 왔다”고 밝혔다.

또 산업재해 예방 등 노동안전과 관련해 “당장 산업안전 감독인력 300명을 신속히 증원하겠다”고 밝혔다.

김영훈 장관은 2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장관 취임식에 앞서 고용부 기자실을 찾았다.

노동계보다 경영계를 먼저 찾은 이유를 묻는 질의에 김 장관은 “민주노총 출신 장관으로서 기대도 있고 우려도 있을 것 같은데, 경영계에서도 여러가지 우려가 있을 것 같아 그런 차원에서 가서 말씀을 듣고 왔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이날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등 재계 단체를 방문했다. 오는 25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을 찾을 예정이다.
◆”산업안전 감독인력 300명 당장 증원”
이어 장관 취임식에서 김 장관은 “33년간 철도노동자로서 살아 온 제가 국민주권정부 첫 고용노동부 장관의 막중한 사명을 띠고 이 자리에 섰다”며 운을 뗐다.

또 ‘노동과 함께하는 성장’이라는 이재명 정부의 노동철학을 언급하며 4가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노동 존중 사회 ▲모든 국민의 일할 권리 보장 ▲일터에서의 권리 보장 ▲노동과 함께하는 ‘진짜성장’ 등이다.

우선 김 장관은 “지역별 일자리 격차가 심화되지 않게 지역의 고용위기 징후가 발생할 때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장관은 ‘안전한 일터’를 강조했다. 그는 “노동안전은 노사, 원하청 공동의 이익인 만큼 ‘원하청 통합 안전보건관리체계’가 노사 상생의 요석이 될 수 있게끔 단단히 구축하겠다”며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당장 산업안전 감독인력 300명을 신속히 증원하고 추가 증원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이 대통령의 지시를 이행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7일 수석보좌관회의 중 “산업 안전 업무를 실제로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약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김영훈 장관은 임금체불 근절 의사를 보였다. 그는 “임금체불은 그 체불된 액수만큼 동네 상권도 위축시켜 자영업자까지 어렵게 하는 사회적 재난”이라며 “고의·상습적인 체불사업주는 국제청 등 관련부처와 협업해 반드시 근절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장관은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법제화하고 정부는 임금분포공시제를 통해 노사가 자율적으로 교섭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겠다”며 “노동법을 잘 준수하는 중소기업엔 대기업 복지에 버금가는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영훈 장관은 “노동과 함께하는 것이 ‘진짜성장’임을 증명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복되는 중대재해를 예방하는 것을 결코 반기업이라 할 수는 없다”며 “장시간 노동과 산재왕국의 오명을 그대로 둔 채 기업 글로벌 경쟁력은 강화될 수 없다”고 했다.

현재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노란봉투법을 두고선 “원하청 교섭을 통해 하청노동자 처우와 기업 생산성이 동반 개선되면 원청의 최종 생산물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향후 노란봉투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빈틈없이 시행을 준비해 현장의 긍정적 변화를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직원들과 소통 시간도…”멀고도 가깝지도 않게 지내자”
이 같이 추진하려는 정책을 설명한 김 장관은 고용부 직원들을 향해선 “여러분이 일목요연하게 1장으로 쓴 보고서를 보며 감탄했다”면서도 “앞으론 조금 길어도 좋으니 형식보단 현장의 작은 변화라도 끌어낼 수 있는 손에 잡히는 실행방안을 보고서에 담아달라”고 주문했다.

또 그는 “공무원들은 매우 바쁜데 정작 국민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 더딘 이유 중 하나는 너무나 많은 불필요한 일들에 얽매여 있어서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안 해도 될 일을 찾아 없애는 것부터 시작해 보자”고 말했다.

이 밖에도 김 장관은 “혁신의 관점에서 가능한 범위와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한번 실험해 보자”고 했다. 연결되지 않을 권리는 ‘퇴근 후 카톡 금지’ 등을 가리킨다. 그는 이날 오전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 공약인 ‘퇴근 후 카톡 금지’를 실시해야 하는데 너무 많이 온다”면서도 “국무위원이기 때문에 계속 이어지고 싶다”고 말했다.

또 김 장관은 “노조법 2·3조 개정을 바로 해야 된다는 지침이 내려졌는지 모르겠는데 계속 문자가 오고 있다”며 “이는 숙명으로, 대통령께선 국무위원이 고달퍼야 국민이 행복하다고 강조하셨고 계속 고달프겠다”고 강조했다.

취임사 후 장관이 직원들이 작성한 질문지를 직접 건네받아 답변하는 소통의 시간이 이어졌다.

고용부 장관으로 꼭 이루고 싶은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 장관은 “종로5가역을 종로5가전태일역으로 바꾸는 등 전태일을 국민들에게 좀 더 가깝게 알리고 싶다”고 답했다.

또 직원들에게 어떤 장관으로 기억되고 싶은지 묻자 김 장관은 “멀고도 가깝지도 않게 지냅시다”라며 “하숙생처럼 지내겠지만 그렇다고 자주 오지 않는다는 얘기가 아니고 마음은 세종시에 항상 있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직원들에게 “(하계)휴가를 꼭 다 써라”며 “여러분들이 건강해야 대한민국 모든 노동자가 건강하다”라고 전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취임식에선 본부 직원대표와 직장협의회, 노동조합 등 6개 직원단체 대표가 모두 참석해 김영훈 장관에게 축하 꽃다발을 전달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724_0003265720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