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변해정 김민성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물가 안정화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한 데 이어 최근 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 등 국가 기관의 대대적인 조사가 이어지면서 식품·외식업계가 좌불안석이다.
기업들은 전방위 동시다발 조사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시기적으로 K푸드 인기 속에 내년 사업계획 수립에 들어간 상황에서 불확실한 대외 변수가 잇따르고 있는 데 대해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물가 동향을 보고받으며 “왜 식료품 물가만 이렇게 많이 오르나”라며 “이는 정부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라며 관계부처에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이 대통령이 취임 이후 먹거리 물가 안정화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자, 식품업계는 ‘눈치 싸움’에 돌입한 상황이다.
실제 지난해 말부터 지난 6월 이 대통령 취임 이전까지 ‘정권 공백기’ 동안 대다수 식품업체들이 환율과 원자재 가격 인상을 이유로 주요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다.
여기에 더해 최근 국세청과 공정위 등 국가기관들도 식품·외식업계에 대한 물가 안정화 압박을 강화하는 추세다.
당국과 업계 등에 따르면 국세청은 최근 생활물가 밀접 업종 탈세 업체 55곳에 대한 고강도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세무조사 대상은 ▲가공식품 제조·판매 업체 12곳 ▲농축수산물 납품·유통 업체 12곳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14곳 ▲예식·장례 업체 17곳이다.
국세청에 따르면 이들은 원자재값 상승을 핑계 삼아 변칙적 방법으로 원가를 부풀려 소득을 축소하면서도 과도하게 가격을 올려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한 것으로 확인된 곳들이다. 전체 탈루 혐의 금액만도 8000억원에 이른다.
이보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 4월부터 농심과 오리온, 롯데웰푸드, 크라운제과 등 주요 식품업체를 상대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국세청과 공정위의 연이은 조사에 기업들의 피로감과 상실감은 상당한 상황이지만 공식 대응은 어려운 상황이다.
익명을 요구한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의 고위 관계자는 “K푸드 인기에 힘입어 지평을 넓히는 와중에 벌이지고 있는 광범위한 조사는 기업 활동을 위축시킬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최근에는 검찰 차원의 수사도 진행됐다. 서울중앙지검 공정거래조사부는 CJ제일제당과 삼양사, 대한제당 등 제당업체 3곳이 최근 수년에 걸쳐 설탕 가격을 담합한 것으로 보고 수사에 나섰다.
다만 이런 상황에서도 식품업계 가격 인상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아이에프는 지난달 18일부터 트러플 전복죽, 삼계 전복죽 등 죽과 비빔밥 등 일부 메뉴 가격을 평균 3.3% 인상했다.
오설록은 지난 1일 부로 오설록은 지난 1일부터 가루녹차(40g) 제품 가격을 기존 1만원에서 1만3000원으로 3000원(30%) 인상했다.
(뉴시스 10월2일자 [단독] ‘제주산 말차’ 열풍…오설록, 추석 전 ‘가루녹차’ 가격 30% 인상 기사 참조)
오설록 측은 그동안 “가루녹차 제품에 차광재배 원료를 일부만 사용해왔으나, 차광재배 원료를 100% 사용하면서 가격을 인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일유업도 지난 1일 부로 ‘매일바이오 그릭요거트 플레인(400g)’ 가격을 2900원에서 3400원으로 500원(17.2%) 올렸다.
이 뿐만 아니라 ‘매일바이오 그릭파우치 플레인(120g)’과 ‘매일바이오 그릭파우치 허니(120g)’ 가격도 2900원에서 3400원으로 인상됐다.
요거트 뿐만 아니라 커피우유 제품 가격도 올랐다.
매일유업 ‘바리스타룰스 무가당 바닐라라떼(325㎖)’와 ‘바리스타룰스 무가당 에스프레소라떼(325㎖)’ 가격은 기존 2900원에서 3400원으로 500원 뛰었다.
호텔 뷔페 가격도 오름세다.
㈜신세계 계열 대전 ‘호텔 오노마’는 지난 1일부터 성인 기준 평일 석식 및 주말 뷔페 가격을 기존 13만5000원에서 14만8000원으로 1만3000원(9.6%) 인상했다. 평일 중식 가격은 9만원에서 9만8000원으로 8000원(8.8%) 올랐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가격에 대한 압박을 지속하고 있으나, 최근 환율이 1400원을 넘나드는 등 많이 오른 데다 원재료 가격도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아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기업 차원에서도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상폭을 최소화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jpyun@newsis.com, kms@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