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뉴시스] 김종효 기자 = 임진왜란 때에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전북 정읍의 선비 안의·손홍록의 숭고한 헌신이 433년 후 당시 고난의 현장이었던 내장산 자락에서 되살아났다.
정읍시는 22일 ‘국가유산지킴이의 날’을 맞아 내장산 우화정 특설무대에서 ‘조선왕조실록 이안 기념행사’를 열었다.
행사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정읍의 역사를 비롯해 관의 지원 없이 사재를 털어 문화유산을 지켜낸 두 선비의 결단 및 숭고한 헌신을 되새기는 자리였다.
이학수 시장과 박일 시의장을 비롯해 400여명의 시민과 관광객이 참석했고 클랑앙상블의 연주와 청운사 향원 스님의 성악 공연이 어우러지며 문화유산의 의미를 더욱 깊게 전달했다.
후에는 실록과 어진을 품고 내장산 용굴로 향했던 433년 전 그날을 되살리는 이안행렬이 재연됐다. 이 행렬은 실록을 품에 안고 험한 산길을 걸었던 선비들과 백성들의 마음을 몸소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이 됐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보다 예산을 확대해 연극 공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추가했다. 특히 안의·손홍록 선생의 업적을 조명하는 무대는 참여자들의 이해도와 공감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이학수 시장은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내장산에서 의미 있는 행사가 개최돼 매우 뜻 깊다”며 “오늘 하루만이라도 안의·손홍록 두 선비의 이름을 기억하자”고 강조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왕조실록과 태조어진은 전주사고본만 남은 채 모두 불에 타 소실됐다. 1592년 6월22일 정읍 태인의 선비 안의와 손홍록이 마지막 남은 실록과 어진을 보존하고자 주민과 가솔들을 이끌고 전주사고본을 내장산에 이안함으로써 화마를 피할 수 있었다.
이들은 실록과 어진을 용굴암과 은적암, 비례암 등으로 옮겨가며 1년 여간 지켜냈고 이안과 보존의 과정을 ‘임계기사’ 및 ‘수직상체일기’로 남겼다. 이들의 헌신이 있었기에 오늘날 조선의 역사가 잊히지 않고 이어지며 세계인의 즐기는 K-컬쳐의 근간으로까지 자리잡았다.
국가유산청은 2018년 이들의 업적을 기리고자 6월22일을 ‘국가유산지킴이의 날’로 지정했고 정읍시는 매년 조선왕조실록 이안 기념행사를 열며 시민들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kjh6685@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