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시스] 홍세희 기자 = 존 케리(John Kerry) 전 미 국무장관은 29일 열린 제10차 아워오션컨퍼런스(Our Ocean Conference·OOC)에서 “기후·해양위기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과 사태의 위급성에 대해 모든 참가국이 동의하고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케리는 이날 오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OOC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한 뒤 “청정 기술을 활용하겠다는 결정만 내리면 미래에 대해 희망적인 생각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OOC 창시자인 케리는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의 주요 초안자 중 한 명으로 미국 최초 대통령 기후특사를 역임했다.
케리는 OOC와 관련, “우리는 공약을 이행하는 데 있어 더 빨리 행동해야 한다는 점에 동의했다”며 “기후위기와 해양위기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에 동의하고, 사태의 위급성에 대해 모두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국가들이 청정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겪고 있는데 이는 모두에게 경제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홍수 등 자연재해 등을 줄일 수 있고,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복구 예산 등도 줄일 수 있다. 우리 모두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고, 안전도 개선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2014년 OOC 첫 회의 이후 매년 많은 국가의 정부가 모여 말뿐만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지는 공약을 내거는 것을 봤다”며 “10년간 2618개의 공약이 발표됐고, 전체적으로 85~6%가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졌다. 이는 사람들의 삶에 많은 변화를 줬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파리 기후변화 협정에서 탈퇴하는 등 세계 각국이 추진하는 탈탄소화 추세에 역행한다는 지적 등에 대한 의견도 밝혔다.
케리는 “2017년 트럼프 1기 행정부는 파리 기후협정을 탈퇴했다. 당시 37개 주에서 재생가능 에너지 포함 포트폴리오 법을 제정했다. 당과 상관없이 행동을 이어갔고, 트럼프 1기가 마무리될 때쯤 새로 생산되는 전기의 75%를 재생에너지로 생산했다”고 말했다.
피터 톰슨(Peter Thomson) 유엔(UN) 사무총장 해양특사도 “대다수 국가들은 이미 설정한 다자 협약을 기반으로 행동을 굳건히 이어가야 한다”며 “해양을 건강하게 만들려면 결국 지구온난화에 대응해야 한다. 국제사회가 하나의 행동을 통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톰슨 특사는 또 우리 정부에 ‘해양법에 관한 국제연합 협약에 따른 국가관할권 이원 지역의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에 대한 협정(BBNJ)’ 비준과 관련해 감사의 뜻을 표했다. 정부는 지난 3월 공해상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BBNJ 협약을 전 세계 21번째이자 동아시아 최초로 비준한 바 있다.
톰슨 특사는 “한국이 BBNJ 협정을 비준한 점에 대해 감사하다”며 “발효를 위해 60개국이 필요한데 한국이 비준하면서 이에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ng1987@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