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임소현 기자 = 최근 소비자 물가를 끌어올렸던 농산물 물가가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이지만 계란, 돼지고기 등 일부 축산물을 중심으로 한 먹거리 물가가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대형 산불사태에 가축전염병,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외부 변수가 산적해 물가 추이를 예상하기 어려운 모양새다.
10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8일 계란 특란 한 판(30구) 가격은 평균 6999원으로 전년(6667원)과 평년(6544원) 대비 각각 5.0%, 7.0%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계란 가격은 수급에 이상이 없었음에도 지난 3월 산지 가격이 급등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현장 점검을 실시하고 이 점검 결과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계란 가격 발표기관을 축평원으로 일원화하고 실거래가격 신고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당국의 이 같은 노력에도 계란 가격이 한 판 7000원에 육박하는 등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 중이다. 최고가는 7980원으로, 8000원 선이 깨질 가능성도 있다.
돼지고기 가격 역시 불안정하다. 지난달 하순 기준 국내산 냉장 삼겹살 평균 소비자가격은 100g당 2446원으로 전년 동기(2368원)대비 3.3% 상승했다. 목살도 같은 기간 2209원에서 2242원으로 1.5% 올랐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동향에서도 축산물은 돼지고기 등이 지난해보다 높은 가격을 보이면서 전년 대비 4.8% 상승(전월대비 1.6%↑)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돼지고기 소비자가격이 지난해보다 상승한 것은 햄·소시지 등 가공식품 원료로 사용되는 국내산 뒷다릿살의 수요 증가와 지난해 정부 지원으로 시행한 대대적인 할인 행사 등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농식품부는 돼지고기 소비가 많은 가정의 달을 맞아 국내 돼지고기 수급 안정 및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며 “돼지고기 수급안정을 위해 국내 공급이 부족한 가공식품 원료육(1만t)에 대해 5월부터 할당관세(0%)를 적용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부는 할당관세 물량이 조기에 도입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할당관세 추천을 받은 업체에서 햄·소시지 등에 대한 할인 행사 등을 추진해 소비자가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농식품부는 지난 8일 축산물 수급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돼지고기 등 주요 축산물 수급상황을 점검하고 소비자 물가 안정에 대한 주요 유통업체 및 축산물 수입업체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돼지고기 수급 및 가격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국내 돼지고기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해 적극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가공식품·외식 물가도 불안한 상황이다. 통계청 지난달 소비자물가 동향 발표 당시 가공식품은 전년 대비 4.1%, 외식은 3.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정부는 물가 부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공식품 가격인상 시 업계와 인상 품목, 인상률 및 인상시기 조정 등 협의를 지속해 오고 있다”며 “식품업계와 간담회, 업체 사전 협의를 통해 인상 대상 제품 중 일부를 제외하고 인상률을 낮추는 한편 인상시기를 분산·이연해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는 업계의 원가부담 완화를 위해 식품 원재료에 할당관세 적용, 수입부가가치세 면세와 같은 세제·금융지원도 추진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가격을 인상한 식품업체들간에 담합 등이 있었는지에 대해 지난 4월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농식품부는 할당관세 지원 등으로 원가부담이 줄어들었음에도 업체들이 동시에 가격을 올리는 경우 등에 있어 불법행위가 있었는지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shlim@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