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회장과 만나, 전장(자동차 전기 장비) 사업 협력 강화를 논의했다.
이 회장이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삼은 전장 사업이 앞으로 한층 속도감 있게 전개될 전망이다.
13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이날 오후 삼성그룹 영빈관인 승지원에 칼레니우스 회장을 초대해 비공개 만찬을 갖고, 전장 부품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두 사람이 만난 것은 지난 3월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열린 ‘중국발전포럼(CDF)’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이날 회동에는 최주선 삼성SDI 사장 및 크리스티안 소보트카 하만 사장 등 전장 사업 관계사 경영진이 동석했다.
삼성과 벤츠는 이날 회동을 계기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장 등 기존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또 차세대 전기차용 배터리,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공조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벤츠는 특히 글로벌 프리미엄 자동차의 상징으로, 최근엔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며 미래 모빌리티 혁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이에 삼성SDI가 보유하고 있는 차별화된 배터리 기술력을 활용한 협력 시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전장 자회사 하만을 인수해 글로벌 완성차 업계의 핵심 전장 솔루션을 공급 중이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SoC(System-on-Chip) 등 반도체 ▲삼성디스플레이의 차량용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삼성SDI의 첨단 전기차 배터리 ▲삼성전기의 전장용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 등 분야에서도 협력이 기대된다.

◆이 회장 글로벌 네트워크…수주 성과로 이어져
이 회장은 그동안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성장의 발판을 구축하기 위해 글로벌 완성차 업계와 네트워크를 강화해 왔다.
지난 2020년에는 정의선 당시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을 삼성SDI 천안 사업장에 초청해 배터리 생산라인을 함께 돌아보면서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 현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양사간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또 2023년에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 연구소에서 만나 협업 가능성을 모색했다.
이밖에 지난 2022년 올리버 집세 BMW 회장과 인천 영종도 BMW드라이빙센터에서 만나 협력 관계를 강화하기로 했고, 지난 3월에는 중국에서 BYD 본사를 방문하고 레이쥔 샤오미 회장과 만나며 중국 전기차 업계의 유력 기업들과도 협업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회장이 쌓아올린 글로벌 네트워크와 삼성의 기술 경쟁력 향상은 첨단 전장 사업에서의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삼성SDI는 2026년부터 2032년까지 유럽 시장에 판매될 현대차의 차세대 전기차 모델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2023년 맺었다.
또 최근 이 회장이 머스크 CEO와 회동한 이후 삼성전자와 테슬라의 협력 강화 방안도 구체화돼 대형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계약으로 이어졌다. 테슬라는 지난 7월 최신 자율주행 반도체인 AI6에 대해 삼성전자의 텍사스주 테일러 반도체 공장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밝히며 양사간 협력이 현실화됐다. 계약 규모는 총 165억달러에 이른다.
삼성전기 역시 이 회장이 BYD 본사를 방문한 뒤 한 달여가 지난 올해 4월, BYD에 대한 대규모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공급을 시작하는 성과를 올렸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은 2010년대부터 배터리를 필두로 전장 사업에 진출했으며 2016년 하만 인수를 계기로 전장 사업을 미래 동력의 한 축으로 육성하고 있다”며 “삼성과 벤츠의 모빌리티 협업이 성사되면 삼성의 전장 사업이 새 도약의 전기를 맞을 수 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