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문체부·관광공사, ‘한국관광의 별’ 시상…지역 관광 발전 주역들 7

AD

[서울=뉴시스]김정환 관광전문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는 한국관광공사(사장직무대행 서영충)와 함께 27일 오후 3시부터 서울 중구 동호로 서울신라호텔 토파즈홀에서 ‘2025년 한국관광의 별 시상식’을 개최했다.

문체부 김대현 제2차관이 시상식 현장을 찾아 올해 ‘한국 관광의 별’을 시상하고, 관계자들을 격려했다.

2010년 시작해 올해로 15회째를 맞이한 ‘한국 관광의 별’은 한 해 동안 우리 관광 산업 발전에 기여한 관광 자원과 관련 단체, 종사자 등을 선정해 시상하는 사업이다. 국민, 지방자치단체, 전문가 등이 추천한 후보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거쳐 선정한다.

올해는 수상 분야를 ‘관광지’ ‘관광 콘텐츠’ ‘관광 발전 기여자’ 등 3개 분야로 구분해 수상 부문을 명확히 했다.

관광지 분야에서 ‘올해의 관광지’는 ‘경주 황리단길’이 선정됐다.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전통과 젊은 감성이 어우러진 매력적인 관광지다. 젊은 창업자들이 전통 한옥과 오래된 골목길을 개조해 감성 카페와 퓨전 음식점, 공방 등 다양한 즐길 거리가 있는 곳으로 재탄생시켰다. 도심 한가운데에 있는 고분군과 어우러지는 이색적인 분위기, 멋스러운 한옥이 이곳을 매력적으로 만든다.

‘유망 관광지’에는 ‘사유원’이 이름을 올렸다. 대구 군위군 팔공산 지맥을 따라 조성된 대한민국 대표 ‘K-정원’이다. 자연, 건축, 예술이 어우러져 사계절 다른 풍경과 정원의 미학을 경험할 수 있다. 세계적인 건축가와 조경가, 예술가들의 손길이 담긴 산책로는 관람객에게 사색과 치유의 경험을 선사한다. ‘자연 속의 미식과 예술’을 주제로 한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바쁜 현대인에게 쉼과 사색, 영감을 건넨다.

‘무장애 관광지’에는 ‘김유정 레일바이크’가 뽑혔다. 옛 경춘선 철길을 따라 달리며 자연과 감성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관광지다. 완만한 경사지에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동행 레일바이크’를 비롯해 휠체어 리프트가 설치된 낭만 객차를 도입하고, 무장애 동선, 점자·음성 안내 시스템 등 모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포용적 관광 환경을 조성했다.

‘친환경 관광지’는 ‘비양도’의 몫이다. 제주 한림항에서 배로 15분 거리에 있는 작은 섬이다. ‘작은 제주’라고 불릴 만큼 제주 고유의 자연과 문화를 간직하고 있다. 기암절벽, 초지, 숲이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자연 경관이 아름답게 펼쳐져 있다. 폐기물 최소화, 다채로운 친환경 여행 캠페인 추진, 주민·관광객 모두 도보와 자전거 활용 등 지속 가능한 생태 관광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

관광 콘텐츠 분야에서 ‘지역 특화 콘텐츠’는 ‘함안 낙화놀이’는 조선 제15대 선조 때부터 내려오던 전통 불놀이다. 6.25전쟁 등으로 명맥이 끊길 뻔했으나 주민들의 역사 고증 등 노력으로 복원했다. 경남 함안군 함안면 괴항마을 함안 무진정 연못에서 참숯 가루를 한지로 감싸 만든 ‘낙화봉’에 불을 붙이면 수면 위로 흩날리는 불꽃(낙화)의 장관을 감상할 수 있다.

‘지역상생 관광모델’은 ‘고창 상하농원’이다. 농어촌 복합 체험형 테마공원으로, 개장 초기부터 ‘지역과 함께하는 성장’을 원칙으로 채용과 생산, 유통, 사회공헌 등 기업 활동 전 과정에서 지역을 우선하고 지역사회 환원 활동을 지속해서 전개해 왔다. 고창군을 비롯한 전북권에서 원재료를 직거래로 조달하고, 이를 가공식품 제조, 레스토랑, 체험 행사 등에서 활용해 생산-가공-관광이 결합된 순환형 지역경제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혁신 관광정책’은 도시 관광 브랜딩, 관광객 유입 사업, 관광 홍보 캠페인 등 공공에서 추진한 혁신적인 관광 정책을 시상한다.

먼저 전남 강진군의 ‘강진 누구나 반값 여행’은 전국 최초로 지역 여행 경비 절반을 지역화폐로 지원하는 ‘반값 여행’을 선보였다. 관광객 재방문을 독려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력과 생활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 다음은 대전의 ‘대전 꿈씨 패밀리 도시마케팅 활성화 사업’이다. 잊혔던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인 ‘꿈돌이’ 캐릭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꿈씨 패밀리’라는 가족 캐릭터로 확장하고, 관광 상품과 결합했다. 이를 통해 도시 관광 브랜드를 구축하고, 효과적으로 도시를 마케팅했다.

‘관광 발전 기여자’ 분야에서 ‘관광 발전 기여자’로 (사)제주올레가 선정됐다. 사라진 옛길을 되살려 친환경적 걷기 여행 문화를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주 관광 브랜드 이미지를 높였다. 유명 관광지만을 방문하던 기존 여행 방식을 ‘점과 점을 잇는 선의 여행’으로 확장해 단발성 소비 여행에서 체류형 여행으로 이어지는 지속 가능한 관광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한국 도보 여행길의 위상을 높였다.

‘한국관광 홍보 명예 공헌인물’로 ‘임상춘(필명)’ 작가가 선정됐다. 대표 작품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와 경북, 전남 등 전국 여러 지역의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촬영돼 시청자 관심이 자연스럽게 해당 지역 관광지로 이어지게 했다. 드라마 정서가 가득 담긴 촬영지들은 시청자 방문을 유도했고, 이는 지역관광 활성화로 이어졌다.

김대현 차관은 “올해 방한 관광객 수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지금이 ‘K-관광’이 질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다”며 “문체부는 이를 위해 세계 경쟁력을 갖춘 지역 관광 콘텐츠를 발굴·육성하고, 교통·편의·쇼핑·안내 등 방문 환경을 개선해 지역 관광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역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ce@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127_0003420186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