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조선시대 왕, 능행서 백성들 고충 직접 들었다” 2

AD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조선시대 왕이 궁궐 밖으로 행차하는 능행(陵幸)은 정치적 정통성과 대민 친밀성을 강조하는 행위였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조선시대 능행 심화 연구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국가유산청과 궁능유적본부 웹사이트에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궁능유적본부는 지난해 조선시대 국왕이 선대 왕이나 왕비의 능에 제사를 지내거나 참배하기 위해 행차하는 ‘능행(陵幸)’의 실체를 규명하는 심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조선시대 국왕이 직접 방문해 의례를 행하는 공간으로써 왕릉이 지니는 의미와 능행 목적을 확인할 수 있다.

17세기를 지나며 종묘보다 왕릉으로의 친행이 늘어나면서 왕릉에서의 의례가 목적에 따라 친제(임금이 직접 제사를 지내는 일), 작헌(능에 나아가 술잔을 올리는 일), 전알(능에 행차해 절을 하는 일), 사릉(제향을 마치고 돌아간다고 알리는 일), 봉심(왕릉을 보살피고 점검하던 일) 등으로 세분화됐다.

이를 통해 능행은 국왕의 정치적 정통성과 통치자로서 대민 친밀성을 강조하는 행위였음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능행 과정에서 진행된 군사활동과 대민활동 관련 행사도 밝혀졌다.

능행은 국왕 개인이 도성 밖으로 행차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기회였다. 이에 적지 않은 병력과 수행 인원이 뒤따랐다.

이 기회를 활용해 국왕들은 사냥, 전투를 위한 군대 배치 방법인 진법 훈련 등 군사 활동을 하거나 백성들에게 농사 작황과 백성들이 겪는 여러 고충을 묻는 대민 활동도 했다.

왕릉군 능행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역대 조선시대 국왕들은 왕릉군으로 능행을 총 211회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왕들은 여러 능·원·묘를 방문하기도 했다. 그중 가장 많이 찾은 곳은 동구릉으로 능행이 89회였다. 그 다음은 63회 능행이 진행된 서오릉이다.

시기별로는 15세기 이후 한 번에 여러 왕릉을 방문하는 능행이 시작됐다.

17세기에는 부친의 왕릉을 우선 방문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효종대에는 연 2회 능행 원칙이 세워지며 능행 횟수가 늘었다.

18세기에는 원제(園制)가 정비 되고 기존 능·묘 제도에 ‘원’의 개념이 추가돼 처음으로 능·원·묘를 잇는 능행이 시작됐다. 방문 순서에 대한 경향은 시기별로 구분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왕릉 관리와 운영 기록인 능지와 기타 기록을 통해 능에 소속된 관리 인원, 재정 상황 등 왕릉의 실질적 운영방식과 각 능으로의 국왕 행행 기록도 확인됐다.

이 보고서는 여러 군영등록과 ‘춘관통고’를 분석해 추가 능행 기록을 비롯한 세부 경로, 군병 배치 및 규모도 수록됐다.

왕릉군 형성 과정에 맞춰 조선시대 전 기간 능행 추이 분석, 대표 사례 4건의 지도도 볼 수 있다.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토대로, 조선왕릉길 프로그램 신규 경로를 기획하거나, 왕릉군 내의 문화콘텐츠 및 행사 개발, 조선왕릉 내 역사문화관 전시 개편 등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suejeeq@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12_0003062006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