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IMF, 올해 韓 성장률 0.8%→0.9%…내년 잠재 성장 궤도 복귀 5

AD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0.8%에서 0.9%로 0.1%포인트(p) 상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은 1.8%로 유지하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정상궤도로 복귀하는 것으로 내다봤다.

IMF는 14일(현지시간)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지난 7월 전망(0.8%)보다 0.1%p 높인 0.9%로 상향 조정했다.

내년도 한국의 성장률은 1.8%로 예측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성장률 수준의 정상 궤도로 복귀할 거로 전망한 것이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지난 전망보다 0.2%p 높인 3.2%로 예측했다. 다만 이번 전망은 현재 수준의 관세와 미·중 간 관세 유예가 지속될 것을 전제로 작성됐다. 내년 세계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IMF는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과 무역 경로 재편 등으로 나타난 경제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달러 약세 등을 고려해 이 같이 예측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미국·영국·독일 등 41개국을 의미하는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0.1%p 상향한 1.6%로, 내년은 기존과 동일한 1.6%로 관측됐다.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와 금융 여건 완화로 0.1%p 상승한 2.0%, 유로존은 독일 민간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0.2%p 오른 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인도·러시아 등 155개국을 나타내는 신흥개도국 그룹은 4.2%로 0.1%p 상향됐다. 내년은 기존과 동일한 4.0%로 전망됐다. 중국의 성장률의 경우, 조기 선적과 확장재정이 무역의 불확실성을 희석하면서 올해(4.8%)와 내년(4.2%) 모두 지난 7월 전망을 유지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완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선진국 물가상승률은 2.5%, 신흥국은 5.3% 수준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올해 물가상승률은 올해 하반기부터 관세 여파가 물가에 전가되면서 2.7%로 예상됐다.

IMF는 “세계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으로 기울어 있다”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정책, 재정·금융 불안, 인공지능(AI) 기술 변화 등이 주요 변수”라고 진단했다.

다만 “무역갈등이 완화되고 각 나라가 구조개혁 노력을 가속화하면서 AI 확산이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경우, 세계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IMF는 예측 가능한 무역환경 조성을 위해 규칙 기반 산업정책 설계와 다자간 무역협정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재정적 측면에서 건전성 확보, 통화정책의 독립성 유지, 금융시장 안정, 중장기 성장잠재력 제고가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IMF는 연간 네 차례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하는데, 4월과 10월은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1월과 7월은 한국을 포함한 30개국을 대상으로 한 수정 전망을 낸다.

◎공감언론 뉴시스 rainy71@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1014_0003362588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