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매일 쏟아지는 인기영상 모아보기 🔥

“K팝처럼 중독성 강해”…’통속 민요’의 재발견 10

AD

[서울=뉴시스] 최희정 기자 = “에헤에야 어야란 난다 디여라 네가 내 사랑이지” (긴도라지 타령 中)
“이야헤 에헤야 에헤이야 얼싸 지화자자 영산홍” (영산홍 中)
“딩기둥당애 둥덩덩” (도화가 中)

귓가에 중독성 강한 후렴구가 맴돈다. 계속 듣다보면 절로 따라부르게 된다. K팝 가사의 한 구절이 아니다. ‘통속 민요’의 후렴구다.

9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 민속악단 정기공연 ‘다시 그리는 노래’ 간담회에서 작품에 쓰여진 26곡의 잊혀진 지역별 통속민요를 선곡해 들려줬다.

이날 무대는 일제 강점기부터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과거에 널리 불렸지만 오늘날 잊혀져가고 있는 민요들을 다시 찾아 현대적인 감각으로 해석한 곡들로 채워졌다. 민요 26곡은 일제 강점기에 발매된 음원과 과거 현장 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재탄생했다고 한다.

먼저 발에 탈을 끼우고 인형극을 진행하듯 재담을 들려주는 정준태 ‘재담꾼’이 나와 “팔도여정을 떠나가볼까”라면서 흥을 돋웠다.

민속악단 연주단원 등 50여명은 경기소리를 시작으로 서도소리, 남도소리, 강원도 소리를 들려줬다.

경기소리가 중심이 된 1막에서는 세상을 떠난 이를 그리는 감정을, 2막에서는 ‘사랑과 기다림, 자연 속의 노래’라는 주제로 서도소리를, 3막에선 봄에 걸맞은 밝은 정서를 표현하는 남도소리를 다뤄 무대별로 다채로운 분위기를 보여줬다.

유지숙 예술감독은 “어떤 곡은 계절이 나오고, 그 다음 곡은 인생무상이 나온다”며 “감정적으로 대중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곡들을 찾다 보니 주제를 정하기 어려웠지만, 편안한 무대를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어 “흙 속에 진주를 찾아내는 것 같은 마음으로 만들었다. 한번 공연으로 아깝다고 할 만큼 주옥 같은 노래가 많았다”며 이날 선보인 26곡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3막에서는 소리꾼 다섯 명이 “봄 가기 전에 놀다 가세”라는 남도민요 ‘화전가’의 가사를 읊으며 꽃이 핀 나뭇가지를 들고 춤을 췄다. 무대에서는 봄 기운이 물씬 느껴졌다.

가장 흥을 돋웠던 민요는 사물놀이를 곁들인 ‘타령’이었다. 4막에서는 경기·서도 민요가 한데 어우러지며 ‘인천 장타령’, ‘강원 장타령’ 등을 선보였다.

꽹과리·북·장구·징을 든 사물놀이패가 상모를 돌리며 경쾌한 장단을 연주하는 가운데 소리꾼 네 사람이 ‘인천 장타령’을 흥겹게 불렀다. “백구 펄펄이 내려온다”라는 재미있는 가사가 귀에 꽂혔다.

유 예술감독은 “비록 익숙하지 않은 노래지만 주옥 같은 옛 민요를 다시 끄집어내서 마음의 평안함을 느끼고 그런 마음으로 돌아갈 수 있으면, 요즘 갈등과 힘든 시기에서 위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김태욱 연출은 “민속음악이 백성들의 이야기라 생각한다”며 “우리 민족들이 다시 모여서 같이 이야기하고 노래하는 힘은 과거에도 앞으로도 존재하지 않을까. 이번 공연을 통해 우리를 하나로 엮고 우리 삶을 지탱해줄 수 있는 힘이 우리 민속음악이다. 관객들이 느끼고 갔으면 좋겠다”고 기획 의도를 강조했다.

‘다시 그리는 노래’ 공연은 오는 10∼11일 예악당에서 진행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dazzling@newsis.com


– 출처 :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409_0003133226

AD

함께 보면 좋은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