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유지했다. 내년 성장률은 올해보다 높은 2.2%를 전망했다.
OECD는 23일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제시했다.
OECD는 지난 3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가 정치 불안과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을 반영해 6월 1.0%로 낮춘 뒤 9월에는 전망치를 유지했다.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은 6월 전망때와 같은 2.2%를 유지했다. 주요국의 경우 내년이 올해보다 대체로 성장이 둔화되겠지만 한국은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물가상승률은 올해 2.2%, 내년 1.9%를 전망했다.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3.2%로 6월 전망에 비해 0.3%포인트(p) 상향조정했다.
OECD는 관세 인상 전 조기선적(front-loading)에 따른 생산 및 무역 증가, 인공지능(AI) 투자 등으로 올해 세계경제가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국 일부에서 최근 산업생산 및 소매판매 증가세가 둔화됐고 노동시장도 다소 둔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내년 세계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인 2.9%를 유지해 올해보다 성장세가 다소 위축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의 성장률은 올해 1.8%, 내년 1.5%로 전망했다. 또 OECD는 미국의 경우 관세 인상의 영향으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올해 2.7%, 내년 3.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스페인(2025년 2.6%, 2026년 2.0%), 일본(1.1%, 0.5%), 영국(1.4%, 1.0%), 아르헨티나(4.5%, 4.3%), 브라질(2.3%, 1.7%), 중국(4.9%, 4.4%), 인도(6.7%, 6.2%) 등도 올해보다 내년 성장률이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국을 비롯해 호주(2025년 1.8%, 2026년 2.2%), 캐나다(1.1%, 1.2%), 독일(0.3%, 1.1%), 프랑스(0.6%, 0.9%), 멕시코(0.8%, 1.3%) 등은 올해보다 내년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ahk@newsis.com